Skip to content

Latest commit

 

History

History
35 lines (28 loc) · 1.62 KB

DB 운영 방식 결정.md

File metadata and controls

35 lines (28 loc) · 1.62 KB

💡 DB 운영 방식 방식 결정

방법 1️⃣: 개발할 때는 H2만 사용 + (개발용 + 운영용) 배포 DB

  • 장점 🌟
    • 초기 개발 속도가 빠름.
    • 스키마가 확정되지 않았을 때 유용함.
  • 단점 ⚠️
    • 공통된 환경을 사용하지 않아서, 매번 테이블과 데이터를 수동으로 넣어야 함.

방법 2️⃣: 개발용 배포 DB + 운영 배포 DB

  • 장점 🌟
    • 공통된 환경을 사용해 매번 테이블과 데이터를 수동으로 넣을 필요 없음.
    • 운영 DB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안전함.
  • 단점 ⚠️
    • 배포 DB를 띄우고 관리할 사람이 필요함.
    • 배포 DB를 2개 운영해야 함.

방법 3️⃣: **개발용 배포 서버(MySQL)**만 사용 후, 운영할 때도 그대로 사용

  • 장점 🌟
    • 공통된 환경을 사용해 매번 테이블과 데이터를 넣을 필요 없음.
    • 배포 DB를 1개만 사용하면 됨.
  • 단점 ⚠️
    • 개발 중 수정이 운영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음.
    • 배포 DB를 띄워주고 관리할 사람이 필요함.

🗣 멘토님의 조언

  • 현업에서는 주로 dev MySQL을 사용함.
    • H2와 MySQL은 다른 DB이기 때문에, 가능하면 dev MySQL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.
    • 로컬에서는 H2를 사용할 수 있지만, 실서비스 환경에서는 dev MySQLprod MySQL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임.

💡 팀 결론

H2를 사용하면서 개발을 진행하고, 필요에 따라 dev MySQL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하기로 함.